등나무(2015.05.11) 요넘이 문제의 백등과 같은나무인 등나무입니다. 꽃이 피는 시기도 차이가 있습니다. 백등은 이미 끝이 났는데 요넘은 이제 피는거지요. 고민인것은 등나무를 백등인줄알고 요렇게 곱게 키웠는데 꽃을 피우고 보니...쩝 백등이 피는 부위는 전혀 다른 줄기이고 보라꽃이 피는데 너무 공.. 우리 나무 2016.01.10
고추나무(2015.05.02) 고추냄새가 난답니다. 잎을 나물로 먹기도 하는 모양인데 저는 한번도 먹어본적은 없습니다. 요넘은 신엽일때 유난히 노란색입니다. 무늬종이라는거지요. 그게 아니면 모시고 있지않을겁니다. 우리 나무 2016.01.10
백등나무(2015.05.02) 요놈은 참 재미있는 넘입니다. 오래전에 어느 꽃장사가 너무 커서 못 판다고 제게 선물한것인데 저는 생각 못한게 하나 있습니다. 보통 보라등나무에 백등을 접목한것인데 그걸 몰랐습니다. 잘 키웠는데 한해는 백등이 꽃이 피고 또 한해는 보라등이 번갈아 꽃이 피는겁니다. 얼마나 재.. 우리 나무 2016.01.10
골담초(2015.05.02) 뼈에 좋아서 골담초랍니다. 어느부위가 좋은지 어떻게 써야 하는지는 모릅니다. 왜~~~? 저는 꽃을 찾는 사람이지 약을 찾는사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꽃을 생으로 먹기도 하고 떡에 넣어도 되고 밀가루를 발라 찌기도 했던것 같습니다. 지금은 안합니다. 그거 말고도 먹을게 많으니까... 우리 나무 2016.01.10
매화말발도리(바위말발도리)(2015.05.01) 이넘은 살아남기위해 바위틈을 선택한 대단한넘입니다. 산에 가서 커다란 바위가 있으면 틀림없이 이넘이 있습니다. 다른식물은 도저히 살수없는 바위의 갈라진 틈에 뿌리를 박고 잘 자랍니다. 향이 아주 좋은 꽃이고 이쁜데 꽃이 조금 작은것이 흠입니다. 우리 나무 2016.01.10
병아리꽃나무(2015.05.01) 병아리꽃나무 이넘은 모시고 오는데 참 오래걸렸습니다. 처음 충남 당진에서 보고 씨앗을 가지고 왔는데 파종해서 발아하는 모습을 못봤고 그 다음에는 광주광역시 비엔날레공원에서 채종해서 얻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가끔 동해를 입습니다. 오래전에 어느 전문가가 아름다운 우.. 우리 나무 2016.01.10
개느삼(2015.05.01) 개느삼 이 식물은 희귀식물이었다가 해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분단 직후에는 남한에는 없는줄 알았는데 강원도 양구에서 당시 초등학교 여름방학숙제인 식물채집 과제물에 이식물이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식물학회가 자생지조사를 해서 해당 자생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식물도 .. 우리 나무 2016.01.08
삼색병꽃(2015,04,29) 삼색병꽃은 진짜 세가지색이 아니라 처음 필때는 노랑이다가 점점 붉어지기 때문에 삼색으로 보입니다. 노지에 관상용으로 심어보니 수형이 잡히지않아 밭둑이나 사람이 자주 가지않는곳에나 심을수 있는 나무입니다. 도시의 공원에는 대만에서 들어온 대만병꽃이 심어지고 우리것은 .. 우리 나무 2016.01.03
겹조팝나무(2015,04,29) 시중에 장미조팝이라고 유통되고 있는데 자생종인지 도입종인지 정체가 불분명합니다. 자생종이라면 변종일것이고 도입종이라면 들어온지 최소한 40여년은 됐을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넘의 존재를 안것은 20년이 넘었습니다. 버스를 타고 장충동을 지나는데 반공연맹(현 자유총연맹) .. 우리 나무 2016.01.02
넓은잎 백산차(2015,04,29) 북한이 고향입니다. 백두산을 중심으로 개마고원까지 자생하는것으로 돼있습니다. 차나무 대신 잎을 차로 마신다고 합니다. 좁은잎 백산차도 있는데 요넘은 정착시키는데 실패했습니다. 넓은잎 백산차도 가지고 있는지는 무척 오래됐는데 꽃을 보기까진 오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차.. 우리 나무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