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 하늘매발톱(2015,04,29) 매발톱은 여러종을 혼식해놓으면 색상의 교잡으로 인해서 보라계열이 우점종이 됩니다. 따라서 마지막에는 한가지 색으로 통일될수도 있으니 흰꽃이 피는 종은 좀 분리해주시기 바랍니다. 원래 하늘매발톱은 백두산이 원산지로 됐습니다. 지금은 거의 대중화 됐지만 한때는 귀한 대접.. 우리 꽃 2016.01.08
각시붓꽃(2015,04,29) 올봄에는 요넘은 볼수없게 됐습니다. 지난해 소나무를 굴취하기 위해 굴삭기가 들어오기 위해 어디로 갔는지 지금은 안보입니다. 옆에 있던 앵초도 마찬가지구요. 우리 꽃 2016.01.03
산작약(2015,05,01) 저는 요넘이 미나리아재비과라는게 신기합니다. 최근 약초로 더 유명해져서 산에서 만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남쪽에는 분홍꽃도 있다는데 저는 아직 본적없고 우리동네에도 자생지가 있어서 눈을 크게 뜨고 돌아 다니면 만날수 있습니다. 오래전에 홍천으로 산삼을 보러 갔.. 우리 꽃 2016.01.02
흰제비꽃(2015,04,29) 제비꽃은 오랑캐꽃이라고도 불렀는데 우리나라에 몇종이나 되는지 모를정도로 변이종이 많습니다. 1990년쯤에 식물도감에는 25~6종이라고 해서 한번 모아보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김태정박사는 45종이라고 하더니 지금은 70여종이라고 합니다. 해서 모으거나 종류를 분류하는것을 포기했.. 우리 꽃 2016.01.01
매발톱(2015,04,29) 원종매발톱이라고 저는 부릅니다. 매발톱은 변이가 심해서 원종을 유지하는게 어렵습니다. 변이가 심한종은 결국은 마지막에 한가지 색상으로 간다고 합니다. 보라계열로 통일된답니다. 정말인지 우리집에도 보라색이 많습니다. 매발톱은 여기도 자생지였습니다. 전에는 산에서도 만날.. 우리 꽃 2015.12.29
흰민들레(2015,04,23) 흰민들레~~~! 약에 쓴다고 귀한 대접을 받지만 신빙성은 떨어집니다. 전문가들의 전언에 의하면 노란민들레나 서양민들레나 효과는 거기서 거기랍니다. 제가 사는 동네에는 노란민들레나 서양민들레보다 흰민들레가 많습니다. 덕분에 민들레를 캐러 오시는분들이 밭이고 어디고 들쑤시.. 우리 꽃 2015.12.29
미치광이풀 (2015,04,07) 미치광이풀은 소가 먹고 미쳤다고 붙은 이름입니다. 유독식물이라는거지요. 우리동네가 자생지입니다. 화야산에 가면 돌이 많은 서덜에 많이 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광덕산에서 노랑미치광이풀이 발견되었는데 마석 천마산에도 있다는 정보가 있습니다. 저는 못봤습니다. 우리 꽃 2015.12.24
흰얼레지(2011,04,09, 2015,04,27) 흰얼레지를 찾아보려고 참 여러곳을 다녔습니다. 다 실패했고 우연히 우리 동네에서 볼수 있었습니다. 2015년에는 전국에서 몇개체가 인간 눈에 발견됐는지 아직 자료를 취합하지못했습니다. 작년(2014년) 에는 네 개체 발견된것 같습니다. 정확한 수치는 아니고 인터넷을 검색하여 발견된.. 우리 꽃 2015.12.24
복수초(2015.03,26) 올해는 제주에 가서 세복수초도 실물을 보았습니다. 사진의것은 세복수초는 아니고 복수초입니다. 작년에 소나무를 캐낸자리에 작은 화단을 조성했는데 한쪽 구석에 심어뒀습니다. 복수초는 양지식물이 아니기 때문에 나무 그늘 밑에 심는것이 좋습니다. 키가 큰 잡목(단풍나무등 키가 .. 우리 꽃 2015.12.23